search for




 

A Case of Malignant Struma Ovarii with Cervical Papillary Thyroid Carcinoma
Int J Thyroidol 2023;16(2):184-189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3;  https://doi.org/10.11106/ijt.2023.16.2.184
© 2023 Korean Thyroid Association.

Jae Eun Oh1, Gun Ho Kim1, Gyeong Hwa Jeon1, Dong Won Kim2, Kyeongmin Kim2, Jeong Sig Kim3 and Hyung Kwon Byeon1

Departments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1, Pathology2, and Obstetrics and Gynecology3,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Seoul, Korea
Correspondence to: Hyung Kwon Byeon, MD, Ph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59 Daesagwan-ro, Yongsan-gu, Seoul 04401, Korea
Tel: 82-2-709-9364, Fax: 82-2-709-9362, E-mail: ewellcastle@gmail.com
Received October 31, 2023; Revised November 13, 2023; Accepted November 13,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Struma ovarii (SO) is a rare ovarian teratoma, which is diagnosed when thyroid tissue accounts for more than 50% of the teratoma. The majority of SO are benign, but malignant tumors have been reported in a small percentage of cases. Five percent of SO cases have been proven to be malignant and, as in the thyroid gland, papillary carcinoma is the most common histotype arising in SO. Because this tumor is rare, there are no guidelines regarding the management of this cancer. Usually, total thyroidectomy followed by radioiodine treatment is the treatment of choice in metastatic malignant struma ovarii, but therapeutic decisions should be made individually based on clinical and pathological data. W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a 45-year-old woman finally confirmed as malignant struma ovarii with cervical thyroid cancer. Therefore, we present this unique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Keywords : Struma ovarii, Malignant struma ovarii, Papillary thyroid carcinoma, Struma ovarii with malignant transformation
서 론

성숙 기형종은 가장 흔한 난소 종양 중 하나로, 전체 난소 종양 중 20% 정도를 차지한다.1) 조직병리상 갑상선조직이 5-15% 정도 발견될 수 있으며, 이 중 갑상선 조직이 전체 난소 종양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종양을 난소 갑상선종(struma ovarii)이라 한다.2) 난소 갑상선종은 드문 단배엽 기형종으로, 전체 난소기형종 중 3%를 차지하며, 난소 생식세포 종양 중 2%, 전체 난소 종양 중 0.5%를 차지한다.3)

대개는 양성 종양이지만, 드물게 악성 변화가 발생하며, 전체 난소 갑상선종의 5% 정도에 해당한다. 악성 변환 중 가장 흔한 종류는 유두상암종(papillary carcinoma)이며, 그중 44%가 기본 유두상암종, 26%가 여포 변이 유두상암종(follicular variant of papillary carcinoma)에 해당한다.4)

저자들은 타 병원에서 술 후 발견된 악성 난소 갑상선종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경부 갑상선유두암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경우 유병률이 높지 않으며 국내에 보고된 증례가 없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45세 여자 환자가 수년 전부터 복부 종괴가 만져져 근처 산부인과병원 내원하여 시행한 초음파상 양측 난소 종양(우측 8 cm, 좌측 15 cm)이 확인되어 양측 난관난소절제술, 충수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조직검사 결과 우측 기형종, 좌측 악성 난소 갑상선종(여포 변이 갑상선유두암) 소견 보여 본원 산부인과 외래로 내원하였다. G (Gravidity, 임신력)-P (Parity, 출산력)-L (Living baby, 생존 자녀 수)-D (Dead baby, 사망 자녀 수)-A (Abortion, 유산 수) 3-2-2-0-1이며, 기저 질환 및 가족력에 특이사항은 없었다. 해당 검체에 대해 본원에서 시행한 조직검사상 갑상선유두암 종류의 난소 갑상선종이 확인되었다(Fig. 1).

Fig. 1. Pathology of the surgical specimen from the oophorectomy previously done at another hospital showing malignant struma ovarii. (A) Microscopically, the tumor is composed of variably sized thyroid follicles with colloid (arrow) (Hematoxylin & Eosin staining [HE], ×40). (B) The tumor cells show mild nuclear membrane irregularity and nuclear clearing in some follicles (arrowhead) (H&E, ×200).

본원 내원하여 시행한 복부 골반 전산화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에서 좌측 대동맥 주위 림프절 전이가 의심되는 소견이 확인되었다(Fig. 2). 전신 양전자단층촬영 검사상 좌측 골반 내 잔여 악성 종양 감별이 필요한 섭취 증가 소견 및 우측 갑상선 섭취 증가한 소견 확인되었고, 시행한 갑상선초음파상 특이소견 보이지 않았다(Fig. 3).

Fig. 2. (A, B) Contrast enhanced abdomen and pelvic CT findings. Metastatic lymph nodes are noted in left paraaortic area (arrow in A, arrowhead in B). (C) Coronal T2-weighted enhanced MRI findings. Metastatic lymph nodes are noted in left paraaortic area (arrowheads).

Fig. 3. PET-CT findings. (A) Focally increased FDG uptakes in right infrathyroidal area (arrowhead). (B) Focally increased FDG uptakes in left pelvic cavity (arrow). (C) Right thyroid US. (D) Left thyroid US. Normal in size without abnormal focal lesion.

본원 산부인과에서 로봇을 이용한 자궁 전절제술, 골반 림프절박리술, 대동맥주위 림프절절제술, 그물막절제술, 유착 박리술을 시행하였고, 최종 병리결과상 전체 26개의 림프절 중 좌측 대동맥 주위 림프절 1개에서 전이가 확인되었다. 임상적으로 좌측 난소의 악성 갑상선종으로부터 전이된 것으로 생각되며, 유두성 특징을 가지는 갑상선 상피세포들이 확인되었다(Fig. 4).

Fig. 4. Pathology of the surgical specimen from para-aortic lymph node showing metastatic carcinoma. (A) The tumor (right area) shows variable sized follicles with papillary fronds (H&E, ×40). (B) Tumor cells show round to ovoid nuclei with mild nuclear membrane irregularity, coarse chromatin, and eosinophilic to clear cytoplasm (H&E, ×400).

최종 진단은 난소 갑상선종(stage IIIA) 및 좌측 대동맥 주위 림프절 전이였으며, 수술 후 진행한 복부 골반 전산화단층촬영상 좌측 대동맥 주위 림프절 전이 2개 중 1개는 수술적으로 제거되었으나, 잔존 림프절 전이 1개가 확인되었다. 적절한 치료 방법에 대한 상의를 위해 산부인과에서 이비인후과, 종양혈액내과, 내분비대사내과, 핵의학과와 함께 다학제 진료를 진행하였다. 잔존 림프절 전이에 대해 수술적 제거가 필요하나 위치상 수술적 접근이 어려운 상태로, 크기 및 림프절 전이를 고려했을 때 고위험군에 해당하여 갑상선전절제술 및 수술 후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계획하였다.

갑상선전절제술 수술을 위해 본과 외래 내원하였고, 수술 전 시행한 갑상선 전산화단층촬영상에서도 특이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수술 전 시행한 혈액검사상 free T4 1.15 ng/dL, TSH 1.62 uIU/mL로 정상범위 이내 수준이었다. 계획한대로 예방적 목적의 갑상선전절제술 및 양측 중심 경부 림프절 절제술 진행하였으며(Fig. 5), 최종 병리결과상 갑상선 좌엽 중앙부에 0.08 cm의 갑상선미세유두암 소견 확인되었고, 림프절 전이는 보이지 않았다(Fig. 6). 수술 후 고용량 방사성요오드 치료(I-131) 진행했으며, 수술 7개월 후 시행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상 좌측 대동맥 주위 잔존 림프절 전이 지속되나, 1.9 cm에서 1.5 cm로 크기 감소하는 양상 확인되며, 수술 9개월 후 타이로글로불린 0.38 ng/mL, 15개월 후 <0.15 ng/mL 확인되고, 추적관찰 중이다.

Fig. 5. Intraoperative photographs. (A) Operative field after total thyroidectomy and central lymph node dissection. Left recurrent laryngeal nerve (arrow) preserved. (B) Right recurrent laryngeal nerve (arrowhead) preserved. (C) Surgical specimen.

Fig. 6. Pathology of the surgical specimen from thyroid showing papillary microcarcinoma without lymph node metastasis. (A) The tumor (center) shows variable sized follicles with papillary fronds (H&E, ×40). (B) Tumor cells show round to ovoid nuclei with nuclear enlargement, nuclear membrane irregularity, and chromatin clearing (H&E, ×400).
고 찰

난소 갑상선종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될 수 있으나, 난소 갑상선종 환자의 약 85%는 폐경기 이전 연령층에 속한다고 알려져 있으며,5) Kim 등6)의 연구에 따르면 연령분포는 20-70세였으며, 평균연령을 40.5세로 보고하였다. 그중 악성 난소 갑상선종은 50-60대에 주로 발병하며, 94%에서 일측성이고, 좌측 난소에서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7,8)

이 종양은 대부분이 무증상이고, 갑상선기능항진증과 같은 기능적 문제는 드물기 때문에 일측성으로 증상이 없이 큰 골반 종괴로 내원하여 수술을 시행하게 되고 이후 조직학적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5-8% 정도에서는 상당한 양의 갑상선호르몬을 분비하고 이런 경우에는 갑상선항진증의 임상소견을 나타낼 수 있다.8) 본 환자에서도 특이증상 없이 거대 골반 종괴로 산부인과의원 내원하여 수술을 시행한 후 진단되었다.

조직학적으로는 유두암(papillary carcinoma), 여포 변이 유두암(follicular variant of papillary carcinoma), 여포암(follicular carcinoma)이 난소 갑상선종에서 가장 흔하게 관찰되며, 그중 가장 흔한 것은 유두암이다.7) 다음은 기존에 보고된 악성 난소 갑상선종과 동시에 확인된 경부 갑상선암에 대한 증례를 정리한 표이다(Table 1). 총 보고된 증례는 12명이었고, 평균 연령 49세였으며, 모두 조직학적으로 유두상암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8명은 유두상암, 4명은 여포 변이 유두상암으로 확인되었다. 검사상 우연히 발견되거나 통증으로 내원하여 발견된 경우가 가장 흔하였고, 이 외 출혈, 골반 종괴로 내원하였다. 난소 갑상선종이 확인된 후 갑상선초음파 및 세침흡인검사를 시행하여 경부 갑상선유두암이 확인된 경우도 있었으나, 5 mm 이하의 미세유두암의 경우 술전 초음파에서 특이소견 없었으나, 갑상선전절제술 후 최종 병리 상 갑상선암이 확인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한 증례를 제외하고 모두 갑상선전절제술 및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진행하였다.9-20)

Reported cases of struma ovarii with cervical thyroid carcinoma

Study Year Age Pathology (struma ovary) Pathology (thyroid)
Soto Moreno et al.9) 2002 31 Papillary thyroid carcinoma Follicular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Janszen et al.10) 2008 52 Follicular thyroid carcinoma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Marti et al.11) 2012 44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apillary thyroid carcinoma
Krishnamurthy et al.12) 2013 51 Follicular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Follicular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Leite et al.13) 2013 78 Papillary thyroid carcinoma Follicular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Leong et al.14) 2013 42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ith perithyroidal lymph node metastasis
González Aguilera et al.15) 2015 57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Brusca et al.16) 2015 30 Follicular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Boyd et al.17) 2017 30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apillary thyroid carcinoma
Middelbeek et al.18) 2017 55 Papillary thyroid carcinoma Follicular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Gomes-Lima et al.19) 2018 62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apillary thyroid carcinoma
Siegel et al.20) 2019 55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apillary thyroid carcinoma


이 종양 자체의 드문 발생률로 명확한 수술적 치료 가이드라인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악성 난소 갑상선종과 함께 난소 바깥으로 퍼져 있거나,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에는 골반 수술 후 갑상선전절제술과 함께 방사성요오드 치료가 권고된다.21) 방사성요오드 치료의 목표는 갑상선 잔여 조직을 모두 제거하고, 전이병소를 파괴하는 데 있다. 또한, 수술 후 whole-body I-131 scan 검사와 타이로글로불린(thyroglobulin, Tg)을 재발에 대한 추적관찰 표지자로 사용하기에 용이하다. 전이 없이 난소에 국한된 암에서의 예방적 갑상선전절제술 시행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Janszen 등10)에 의하면 악성 난소 갑상선종에서 경부 갑상선암이 함께 존재할 가능성이 있기에 미세전이를 모두 제거하고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재발률을 낮추고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고 보고하였다.21)

경부 갑상선암에 대해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ATA) guideline (2015)은 재발 위험도에 따라 분류 기준을 정립했다. 경부 갑상선암과 악성 난소 갑상선종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Egan 등22)은 National Cancer Database (NCDB)를 이용하여 ATA guideline을 통해 악성 난소 갑상선종을 병리학적 특징에 따라 위험도를 분류하였다. 크기, 전이 여부, 난소 외 퍼짐, 수술 후 경계 등을 통해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였다(Table 2). 방사성요오드 치료는 중간위험도 및 고위험군에서 추천되었고, 이는 재발률 감소와 전반적인 생존율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방사성요오드 치료가 악성 난소 갑상선종에서 예후를 개선할 수 있어, 이와 같은 위험도 분류를 통해 방사성요오드 치료 필요성을 결정하고 환자의 예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Risk stratification of malignant struma ovarii cases

Low risk Intermediate risk High risk
<4 cm >4 cm
EOE 1 EOE 2 EOE 3 or 4
LVI Positive lymph nodes
No metastasis Distant metastasis
Negative margins Positive margins
Grade: well-differentiated Grade: moderately-differentiated Grade: poorly-differentiated

EOE: extraovarian extension, EOE 1: confined to ovary, EOE 2: local capsule rupture during surgery, EOE 3: positive pelvic washing, EOE 4: definitive pelvic invasion, LVI: lymphovascular invasion



저자들은 이번 증례에서 갑상선초음파상 결절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난소 바깥으로 퍼져 있으며, 림프절전이가 있어 고위험군에 준해 골반수술 후 갑상선전절제술 및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병리학적으로 갑상선미세유두암 확인되었고, whole-body I-131 scan 검사와 타이로글로불린(Tg)을 이용해 추적관찰 중이다. 이번 증례를 통하여 악성 난소 갑상선종이 확인된 환자에서 갑상선초음파상 결절이 확인되지 않더라도 중간위험도 이상일 경우 재발률을 낮추고 예후 개선을 위해 갑상선전절제술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중심 단어: 난소 갑상선종, 악성 난소 갑상선종, 갑상선유두암종, 난소 갑상선종의 악성전환.

Conflicts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Peterson WF, Prevost EC, Edmunds FT, Hundley JM Jr, Morris FK. Benign cystic teratomas of the ovary; a clinico-statistical study of 1,007 cases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Am J Obstet Gynecol 1955;70(2):368-82.
    Pubmed CrossRef
  2. Devaney K, Snyder R, Norris HJ, Tavassoli FA. Proliferative and histologically malignant struma ovarii: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54 cases. Int J Gynecol Pathol 1993;12(4):333-43.
    Pubmed CrossRef
  3. Rosenblum NG, LiVolsi VA, Edmonds PR, Mikuta JJ. Malignant struma ovarii. Gynecol Oncol 1989;32(2):224-7.
    Pubmed KoreaMed CrossRef
  4. Makani S, Kim W, Gaba AR. Struma ovarii with a focus of papillary thyroid cancer: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Gynecol Oncol 2004;94(3):835-9.
    Pubmed CrossRef
  5. Grandet PJ, Remi MH. Struma ovarii with hyperthyroidism. Clin Nucl Med 2000;25(10):763-5.
    Pubmed CrossRef
  6. Kim S-J, Pak K, Lim H-J, Yun K-H, Seong S-J, Kim T-J, et al. Clinical diversity of struma ovarii. Korean J Obstet Gynecol 2002:748-52.
  7. Zhang X, Axiotis C. Thyroid-type carcinoma of struma ovarii. Arch Pathol Lab Med 2010;134(5):786-91.
    Pubmed CrossRef
  8. Hatami M, Breining D, Owers RL, Del Priore G, Goldberg GL. Malignant struma ovarii--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Gynecol Obstet Invest 2008;65(2):104-7.
    Pubmed CrossRef
  9. Soto Moreno A, Venegas EM, Rodriguez JR, Sanchez F, Robles MJ, Martinez MA, et al. Thyroid carcinoma on an ovarian teratoma: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Gynecol Endocrinol 2002;16(3):207-11.
    Pubmed CrossRef
  10. Janszen EW, van Doorn HC, Ewing PC, de Krijger RR, de Wilt JH, Kam BL, et al. Malignant struma ovarii: good response after thyroidectomy and I ablation therapy. Clin Med Oncol 2008;2:147-52.
    Pubmed KoreaMed CrossRef
  11. Marti JL, Clark VE, Harper H, Chhieng DC, Sosa JA, Roman SA. Optimal surgical management of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arising in struma ovarii: a series of 4 patients and a review of 53 reported cases. Thyroid 2012;22(4):400-6.
    Pubmed CrossRef
  12. Krishnamurthy A, Ramshankar V, Vaidyalingam V, Majhi U. Synchronous papillary carcinoma thyroid with malignant struma ovarii: a management dilemma. Indian J Nucl Med 2013;28(4):243-5.
    Pubmed KoreaMed CrossRef
  13. Leite I, Cunha TM, Figueiredo JP, Felix A. Papillary carcinoma arising in struma ovarii versus ovarian metastasis from primary thyroid carcinoma: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Radiol Case Rep 2013;7(10):24-33.
    Pubmed KoreaMed CrossRef
  14. Leong A, Roche PJ, Paliouras M, Rochon L, Trifiro M, Tamilia M. Coexistence of malignant struma ovarii and cervical papillary thyroid carcinoma. J Clin Endocrinol Metab 2013;98(12):4599-605.
    Pubmed CrossRef
  15. González Aguilera B, Guerrero Vazquez R, Gros Herguido N, Sánchez Gallego F, Navarro Gonzalez E. The lack of consensus in management of malignant struma ovarii. Gynecol Endocrinol 2015;31(4):258-9.
    Pubmed CrossRef
  16. Brusca N, Del Duca SC, Salvatori R, D'Agostini A, Cannas P, Santaguida MG, et al. A case report of thyroid carcinoma confined to ovary and concurrently occult in the thyroid: is conservative treatment always advised? Int J Endocrinol Metab 2015;13(1):e18220.
    Pubmed KoreaMed CrossRef
  17. Boyd JC, Williams BA, Rigby MH, Kieser K, Offman S, Shirsat H, et al. Malignant struma ovarii in a 30-year old nulliparous patient. Thyroid Res 2017;10:3.
    Pubmed KoreaMed CrossRef
  18. Middelbeek RJW, O'Neill BT, Nishino M, Pallotta JA. Concurrent intrathyroidal thyroid cancer and thyroid cancer in struma ovarii: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J Endocr Soc 2017;1(5):396-400.
    Pubmed KoreaMed CrossRef
  19. Gomes-Lima CJ, Nikiforov YE, Lee W, Burman KD. Synchronous independent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in struma ovarii and the thyroid gland with different RAS mutations. J Endocr Soc 2018;2(8):944-8.
    Pubmed KoreaMed CrossRef
  20. Siegel MR, Wolsky RJ, Alvarez EA, Mengesha BM. Struma ovarii with atypical features and synchronous primary thyroid cancer: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rch Gynecol Obstet 2019;300(6):1693-707.
    Pubmed CrossRef
  21. McGill JF, Sturgeon C, Angelos P. Metastatic struma ovarii treated with total thyroidectomy and radioiodine ablation. Endocr Pract 2009;15(2):167-73.
    Pubmed CrossRef
  22. Egan C, Stefanova D, Thiesmeyer JW, Lee YJ, Greenberg J, Beninato T, et al. Proposed risk stratification and patterns of radioactive iodine therapy in malignant struma ovarii. Thyroid 2022;32(9):1101-8.
    Pubmed Cross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