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ational Journal of Thyroidology

Fig. 1.

Download original image
Fig. 1. 갑상선결절에 대한 검사 및 치료 알고리즘. a갑상선중독증의 원인 질환에 대한 추가적인 검사 및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b초음파 소견이 있는 경우에는 이에 따라 병리진단검사 시행 여부를 결정한다. c병리진단검사로는 세침흡인검사(FNA)가 정확하고, 비용 대비 효율이 가장 큰 방법으로 일차적으로 권고된다. 중심바늘생검(CNB)은 FNA의 보완적 수단으로서 숙련된 시술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TSH가 증가된 경우에는 기능저하증에 대한 진단 및 치료를 병행한다. d병리진단결과에 보조적으로 악성 위험도를 계층화하기 위해 면역화학염색검사, 단일유전자변이검사 및 차세대염기서열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패널검사가 고려될 수 있다. e저위험군의 미세갑상선유두암 등에서는 임상상과 환자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즉각적인 수술 대신 면밀한 적극적 관찰(active surveillance)을 고려할 수 있다.
Int J Thyroidol 2023;16:1-31 https://doi.org/10.11106/ijt.2023.16.1.1
© 2023 Int J Thyroid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