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ational Journal of Thyroidology

Table. 2.

Table. 2.

2021 K-TIRADS에 기초한 갑상선결절의 암 위험도 및 병리진단검사 기준a

카테고리 초음파 유형 암 위험도(%) FNA/CNBb
5 높은의심 암 의심 초음파 소견c이 있는 저에코 고형결절 >60 >1 cmd
4 중간의심e 1) 암 의심 초음파 소견이 없는 저에코 고형결절 혹은
2) 암 의심 초음파 소견이 있는 부분 낭성 혹은 등/고에코 결절
3) 완전히 석회화된 형태를 보이는 결절f
10-40 >1-1.5 cmg
3 낮은의심 암 의심 초음파 소견이 없는 부분 낭성 혹은 등/고에코 결절 3-10 >2 cm
2 양성h 1) 등/고에코의 해면모양 결절
2) 낭성 부분 내에 혜성꼬리 인공음영(comet-tail artifact)을 보이는 고에코 병변(echogenic foci)을 동반한 부분 낭성 결절
3) 순수 낭종
<3 해당하지 않음i
1 무결절 - -

CNB: core needle biopsy, FNA: fine needle aspiration, K-TIRADS: Korean Thyroid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a경부 림프절전이 의심, 명백한 주변 구조물로의 피막외 침범(기도, 후두, 인두, 되돌이 후두신경, 또는 갑상선 주위 혈관), 확인된 원격전이, 또는 갑상선수질암 의심 등의 불량한 예후 인자를 가진 경우에는 결절의 크기와 무관하게 가장 의심스러운 결절에서 병리진단검사를 시행한다.

bFNA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일차적 병리진단검사법이며, CNB는 FNA의 보완적 병리진단검사법으로 숙련된 시술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시행될 수 있다.11,47)

c점상 고에코 병변(punctate echogenic foci) 혹은 미세석회화, 비평행 방향성(nonparallel orientation) 혹은 앞뒤가 긴 모양(taller than wide), 불규칙적 경계(침상 혹은 소엽성 경계).

d크기가 작은(>0.5 cm 및 ≤1 cm) 높은의심 결절에서 되돌이 후두신경의 경로를 따라 기도 또는 후내측 피막에 부착이 의심되는 경우 수술이 필요한 고위험 갑상선암일 수 있어 병리진단검사가 권고된다. 크기가 작은(>0.5 cm 및 ≤1 cm) 높은의심 결절에서 임상적 고위험 특성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 적극적 관찰 등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해 성인에서 병리진단검사가 고려될 수 있다. 소아의 경우 임상적인 소견을 고려하여 크기가 작은(>0.5 cm 및 ≤1 cm) 높은의심 결절에서 병리진단검사가 고려되어야 한다.

e명확히 구분되는 결절 없이 광범위한 실질내 점상 고에코 병변(parenchymal punctate echogenic foci) 혹은 미세석회화를 보여 미만성 경화 아형(diffuse sclerosing subtype) 유두암이 의심되는 경우와 미만성 침습적 병변(전이나 림프종과 같은 침습적 악성 종양 의심)은 중간의심(K-TIRADS 4) 결절로 간주한다.

f초음파 영상에서 후방음향음영으로 인해 결절의 초음파 특성을 확인하기 어려운 완전히 석회화된 형태를 보이는 결절(entirely calcified nodules).

g병리진단검사의 결절 크기 기준은 초음파 소견, 결절 위치, 임상적 위험 인자, 환자 특성(연령, 동반질환, 선호도)을 고려하여 1-1.5 cm의 범위 안에서 결정한다.

h암 의심 초음파 소견이 동반된 결절도 포함된다.

i일반적으로 병리진단검사 대상에 해당하지 않으나, 지속적으로 의미 있게 크기가 커지는 결절 또는 수술적 치료를 계획하는 결절에서 생검이 시행될 수 있으며, 고주파 혹은 에탄올절제술 치료 예정인 결절은 치료 전 병리진단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Int J Thyroidol 2023;16:1-31 https://doi.org/10.11106/ijt.2023.16.1.1
© 2023 Int J Thyroidol